서울국제환경영화제
- 2023.6.1~6.7
<SIEFF>
- 2004년 시작된 서울국제환경영화제는 매년 6월 5일 세계환경의 날에 맞춰 진행되고 있다.
2009년부터 전 세계 환경영화제들의 네트워크인 그린필름네트워크 소속으로 활동하며 한 편의 영화가 가진 힘으로 환경을 위한 적극적인 실천을 이끌어내고자 마련되는 영화제이다.
- 영화를 통해 지구와 인류의 공존에 대한 생각을 나누는 축제이며, 지속가능한 지구를 만들어나갈 청소년을 그린리더로 양성하고 있다고 한다.
서울국제환경영화제
2004년 처음 시작한 서울국제환경영화제는 영화를 통해 환경과 인간의 공존을 모색하고 미래를 위한 대안과 실천을 논의하는 페스티벌로, 전 세계의 시급한 환경 문제를 다룬 국내외 우수 작품
sieff.kr
- 서울국제환경영화제에서 나는 '나마스테 히말라야'를 보았다.
- 이렇게 많은 영화인들이 환경에 관심을 가지고, 환경에 관한 많은 영화를 만들며, 움직이고 있다는 사실이 새삼 놀라웠다.
영화를 통해 좀 더 많은 사람들이 환경문제에 관심을 가지고, 작은 노력들을 실천해 나간다면 뭔가 변화의 움직임이 크게 일어나지 않을까" 하는 기대를 갖게 한다.
<나마스테 히말라야>
- 서울에서 상영할 때 '나마스테 히말라야'로 상영되었지만, '나마스테 COVID-19' 라고 하는 것이 더 정확한 영화제목인것 같다.
- (내용) : 팬더믹의 정점에서 세계를 여행하는 안나와 마이클은 가장 가난한 나라 중에 하나인 네팔에 당도하게 된다. 네팔의 락 다운 기간에 사람들은 도시를 떠나 산으로 도망쳤고 8000명이 넘는 사람들이 임시로 집을 짓고 산에서 살기 시작했다. 농부, 홈리스, 산 가이드 등 다양한 사람들이 모여 있는 이 커뮤니티에서 안나와 마이클은 많은 것들을 깨닫게 된다.
- 이 영화의 내용은 얼마전에 읽은 책 <디컨슈머>의 주제와 맥을 같이 한다.
- 이제는 외면하고 살아가기에는 우리에게 아주 심각한 문제로 다가오고 있는 지구위기에 대해 작은 실천을 해나가야 할 때인것 같다.
- 우리가 코로나를 겪으면서 소비를 줄이는 대신 문제를 함께 극복해 나가는 공동체 의식을 형성했듯이,
소비를 줄이고, 현재에 충실하며, 많은 것들을 바라보게 될 때. 우리가 생각하는 깨달음은 결국 가까이에 있다는 것을 생각하게 한다.
- 우리는 심각성을 이미 알고 있으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법에 대해서도 많은 것을 알고 있다. 그러나 그 것들을 실천하면 더 많은 장애에 부딪치고, 불편을 감소해야 하기에 감히 실천하지 못하며 살아가고 있다. 작은 실천의 첫걸음이 어렵기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