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상
2013. 한국
The Face Reader.
출연: 송강호(내경), 조정석(팽헌), 이종석(아들, 진형) , 이정재(수양), 백윤식(김종서), 김혜수(연흥)
(줄거리)
사람의 얼굴에는 세상 삼라만상이 모두 다 들어있소이다! 얼굴을 보면 그 사람의 모든 것을 꿰뚫어보는 천재 관상가 내경. 처남 ‘팽헌’, 아들 ‘진형’과 산속에 칩거하고 있던 그는 관상 보는 기생 ‘연홍’의 제안으로 한양으로 향하고, 연홍의 기방에서 사람들의 관상을 봐주는 일을 하게 된다. 용한 관상쟁이로 한양 바닥에 소문이 돌던 무렵, ‘내경’은 ‘김종서’로부터 사헌부를 도와 인재를 등용하라는 명을 받아 궁으로 들어가게 되고,...
<나의 평>
아주 재미있게 잘 만들었고,
송강호의 연기도 뿐아니라 , 모든 캐릭터들이 자기 역할을 잘 소화하여, 역사 속의 인물들을 마치 눈앞에서 보는 듯이 살아 움직이는 캐릭터로 잘 살려낸다.
보는 것과 말하는 것의 중요성.
한 인간이 거대한 역사의 물결 앞에서 그것을 읽어 내지 못했을 때
얼마나 나약하고 비굴한 존재로 전락하고 마는지를 잘 드러내주고 있다.
겉으로 보여지는 김종서와 수양의 대결이야 우리가 익히 역사 속에서 아는 사실이고
내경과 한명회의 숨은 대결을 마치 역사 속의 사건인양 박진감있게 묘사하고 있는데
이미 다 알고 있는 역사 속의 사실이 내경의 손에 의해 마치 뒤바뀌어 질 것 마냥 응원하게 되니
우린 영화를 보면서 내내 주인공 편에 서게 될 수 밖에 없나보다.
역사의 파도 속에서 한 인간은 한 방울의 물방울에 불과하지만 그 것이 모여 거대한 물결과 파도를 만들어 낼수도 있음을
또한,
천기를 함부로 누설한(말하는 것) 내경이 그 말 들로 인해 어떻게 파멸하고, 거대한 흐름앞에 무너져 내리는 가를
잘 보여준 무거운 주제를 재미있게(해학적으로) 처리한 볼 만한 영화다.
우리는 얼굴에 점을 만들어서라도 작은 삶들은 어쨋튼 바꿀 수 있다지 않는가?
관상하면 떠로는 사람이 김구 선생님이다.
김구 일지를 보면 자신의 관상이 빌어먹다 길거리에서 비명횡사할 상이라는 것을 알고
그 삶을 독립운동과 암살로 마우리짓는
훌륭한 위인의 삶으로 바꾸지 않았는가?
인간의 삶은 관상도 바꾸고 , 그 관상에 따른 내용도 바꿀 수 있다고 한다.
그 작은 삶들이 모여 또하나늬 거대한 역사의 파도를 만들 수도 있으니
우린 희망을 가져 볼 일이다.
한명회는 관상이 목이 잘릴 상이어서 역사의 심판을 받은 것이 아니라
그가 그런 삶을 살았기에 역사의 심판을 받아 목이 잘린 것이라는 것.
우린 지금 보여지는 것과 지금 하는 말들을
보여지지 않을 것과 다음에 올 파장의 거대한 흐름 속에서 살필 일이다.
심상이 관상을 만들어 가는 것일지도 모르니....^^
포스터 사진을 찾으려고 다음에 '관상'을 치니 다음과 같은 영화평론이 있었다.
내가 본 관점과 같고 영화를 이해하는데 도움이 될 것같아 참고로 올려본다.
http://magazine.movie.daum.net/w/magazine/film/detail.daum?thecutId=6217
'영화, 또 다른 세상' 카테고리의 다른 글
만추 (0) | 2013.10.03 |
---|---|
우아한 영화에 관한 글 (0) | 2013.10.02 |
클래스 (0) | 2013.09.04 |
오페라 투란도트 (0) | 2013.08.21 |
엘리시움 (0) | 2013.08.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