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야행-하얀 어둠 속을 걷다(2009)
(줄거리)
그날 이후, 14년의 기다림과 슬픈 살인이 시작됐다
운명은 이들을 하얀 어둠 속으로 몰아 넣었다!
출소한 지 얼마 안된 한 남자가 잔인하게 살해 당한다. 이 사건이 14년 전 발생한 한 살인사건과 연관되어 있음을 안 수사팀은 담당형사였던 동수(한석규 분)를 찾아가고, 그는 본능적으로 당시 피해자의 아들이었던 요한(고수 분)이 연루되어 있음을 직감한다
한편, 재벌총수 승조의 비서실장 시영(이민정 분)은 승조를 위해 그의 약혼녀 미호(손예진 분)의 뒤를 쫓는다. 모든 면에서 완벽한 미호. 하지만 비현실적일 만큼 완벽했던 미호에게 석연치 않은 과거의 흔적이 발견되면서, 그녀 곁에 그림자처럼 맴돌고 있는 존재를 발견하게 된다.
과거를 지우는 여자와 오늘이 없는 남자, 빛과 그림자가 되다!
서로 다른 대상을 쫓다 한 자리에서 만나게 된 시영과 동수. 그들은 요한과 미호의 과거에 관한 충격적인 사실을 알게 된다. 14년 전 발생했던 사건의 살인용의자가 미호의 엄마, 피살자가 요한의 아빠였으며, 새로운 삶을 살고 있는 미호와 달리 요한은 여전히 어둠 속에 갇혀 살고 있다는 것이다.
마치 빛과 그림자처럼…
---------------(다음 영화에서 펌)----------------
일본 소설을 영화로 만든 것,
일본에서는 드라마로 제작되었고, 영화로도 제작되었었다.
일본 드라마는 과거의 첫 살인이 일어나게된 경위가 처음부터 잘 드러나게 드라마가 시작되고,
그 후 두사람의 잔인하면서고 비극적인 운명과 일그러진 사랑의 모습을 그려나가는 구도로 전개된 반면
한국영화는
긴 줄거리를 아주 집약적으로 영화에 담다보니 다소 혼란 스럽고, 난해한 전개가 된 감이 없잖아 있다.
하지만 소재 자체가 워낙 충격적인 것이라
그 핵심을 잘 잡고, 사건의 해결과정 에서 두 남녀의 비극적인 사랑이 드러나면서
사건의 해결과 동시에 죽음에 이르는 과정을 잘 묘사하고 있다.
영화가 끝나면서 감독이 누군가...하고 자막을 보았을 때는 제작자는 강선우 감독이었는데
아마도 감독자체는 박선우 감독이었던 것 같다.
영화를 볼 때는 그 감독마다 자신의 색깔로 연출을 하기 때문에 강선우 감독 답게 깔끔하게 만들었다. 했는데....
하지만 박선우 감독이라고 해서 영화의 맛이 줄어드는 것은 아니다.
영화는 보는 사람에 따라 평이 다르긴 하지만
내가 보기에는 깔끔하게 잘 만들었다는 생각을 했다.
주인공이 두 남녀의 시점에서 전개되는 일본 드라마와는 달리
살인사건을 수사하는 형사의 관점에서
현재일어난 사건과 14년 전에 일어난 사건의 연결고리를 풀어가는 과정에서 드러나게 되는 비극적 사랑을
관객들에게 보여주는 방법으로 되어진 구성도 괜찮았다.
영화속 한석규의 대사처럼
쌈쌍둥이 처럼 같이 있으면 아픔만을 주지만 서로 떨어져서는 결코 살 수 없는 두 사람의 운명이
고수의 대사없는 표정과 얼굴에서 그 애절함을 전달해주어
세사람의 연기도 좋았고, 배역 선정에도 성공한 편이다.
아버지의 업보를 짊어지고 평생을 어둠속에서 살아야만 했던 아이나.
그 어둠 속에서 벗어나려고 발버둥치면서
상대마져 어둠 속으로 끌어드려 결국 소멸하게 만들고 마는 여자의 운명이나
정말 가습아픈 일이다.
자식을 자신의 수사에 희생시킨 죄의식에서 벗어나지 못하는 형사는
아버지의 죄로 인해 14년을 어둠속을 살아가는 고수를 향해 미안하다 절규한다.
정말, 가슴아프고 슬픈이야기다.
너무나 어둡고, 너무도, 가슴아린....
소설을 읽은 사람들은 꼭 소설을 읽어보길 권하는 것을 보니
원작이 매우 잘 써진 모양이다.
하지만
영화를 본 충격이 아직도 가시지 않은 나는
이 한편의 영화로도 충분히 어둠속에 싸여 더이상 그 속을 들여다 보고 싶지 않은 심정이다.
'영화, 또 다른 세상' 카테고리의 다른 글
덕혜옹주 (0) | 2016.09.20 |
---|---|
좋아해줘 (0) | 2016.09.20 |
룸(R00m) (0) | 2016.09.19 |
BBC선정 최고의 영화 100선 (0) | 2016.09.11 |
나의 산티아고 (0) | 2016.09.11 |